● 정의
뉴트로란 새로움을 뜻하는 단어인 'New'와 복고를 뜻하는 단어인 'Retro'를 합쳐 생겨난 말이다.
"New + Retro = New-tro"
레트로는 과거의 유행을 접했을 때, 기성세대들이 느끼는 추억과 향수를 활용한다.
뉴트로는 과거의 유행을 접했을 때, 신세대들이 느끼는 신선함과 새로움을 활용한다.
똑같은 과거의 유행이지만, 이를 겪어보지 못한 신세대들에게는 매우 새롭게 느껴진다.
이렇게 '복고를 새롭게 즐기는 경향'을 뉴트로라고 한다.
기성세대와 신세대 모두의 니즈를 충족하며, 뉴트로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자연스럽게 마케팅에서도 뉴트로가 중요한 키워드로 떠올랐다.
'복고 패션, 레트로 디자인의 자동차, 과거 포장으로 출시되는 라면' 등 여러 산업에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 사례
1. 진로 이즈 백(Jinro is back)
지난 4월 하이트진로에서 새로운 제품을 출시했다.
하이트진로는 참이슬로 압도적인 소주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었다.
하지만, 최근 경쟁제품인 처음처럼과 지방 소주의 약진으로 경쟁이 치열해졌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뉴트로 감성에 맞는 '진로'를 출시했다.
광고 문구는 "진로 이즈 백".
1924년 출시된 원조 소주 '진로'를 현대적으로 복원한 제품이다.
새로 출시된 진로는 SNS 등에서 큰 인기를 끌며 많은 신세대의 사랑을 받았다.
이는 네이버의 검색량에서도 잘 드러난다.
네이버 데이터랩을 통해 "진로이즈백"과 "진로"에 대한 검색어 트렌드를 확인해보았다.
진로가 출시된 4월부터 현재까지 검색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2. 을지로
을지로는 뉴트로를 대표하는 지역이다.
신세대들에게 큰 인기를 얻으며, 젊음의 거리로 거듭났다.
이에 트렌디하다는 의미의 "힙"을 붙여, "힙지로"라고 불리기도 한다.
과거 분식집에서 사용하던 초록색 접시, 길거리에 테이블을 놓고 마시는 맥주, 먹태/황태 등 기성세대들이 즐기는 안주.
이외의 다양한 요소로 을지로만의 독특한 뉴트로 감성이 형성되었다.
폭염의 날씨에도 많은 사람들이 야외 테이블에 앉아 그 감성을 즐길 정도로 인기가 많다.
'경제 >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서킷 브레이커(Circuit breakers) (0) | 2020.03.10 |
---|---|
[경제용어] 신예대율 규제 (0) | 2019.11.19 |
[경제용어] 그로서란트(Grocerant) (0) | 2019.07.07 |
[경제용어] 초대형 IB (2) | 2019.05.18 |
[경제용어] OCIO (1) | 2019.04.17 |